국공립어린이집 수도권 편중 심화
올해 신설 407곳중 54% 수도권
경남 이용 아동 10명 중 1명꼴
지방비 부담에 지역 편차 커져
문재인 정부가 국정과제인 국·공립어린이집 이용 아동 비율을 40%까지 높이겠다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'빨간불'이 켜졌다. 특히 신설 국·공립어린이집이 서울과 경기·인천 등 수도권에 몰려 있어 지역 간 편차도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.
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정춘숙(더불어민주당)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국·공립어린이집 확충에 속도를 내지 않는 한 전체 어린이집 이용 아동 가운데 국·공립어린이집 이용 아동 비율 40% 달성은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.
![]() |
문재인 정부는 '보육·양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 강화 방안'으로 부모가 선호하는 국·공립어린이집을 대폭 늘려 이용률 40% 달성을 국정 과제로 내세우고 2022년까지 매년 450개소 이상 확충하기로 했다. 지난해 3157개소였던 국·공립어린이집은 문 대통령 공약대로라면 2022년 5407개소로 늘어난다. 하지만 해마다 450개소씩 어린이집을 늘려도 이용률은 2017년 12.9%에서 2022년에도 27.5% 정도에 그칠 전망이다.
더욱이 새로 늘어난 국·공립어린이집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지역 편중이 심해지고 있는 것도 문제다. 2017년부터 2018년 9월 7일까지 2년간 늘어난 국·공립어린이집 780개소 중 32.9%(257개소)가 서울, 63%(496개소)가 수도권에 신설됐다. 올해 문을 연 어린이집으로만 한정해도 407개소 중 54%(220개소)가 수도권에 몰렸다. 특히 서울에 1443개소가 있지만 경남에는 9분의 1 수준인 151개소뿐이다.
국·공립어린이집 이용률로 보면 서울 쏠림 현상은 더 두드러진다. 경남지역 이용률은 10명당 1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9.5%지만 서울은 35%다. 부산 15.6%, 강원 14.5%, 인천 12%, 경기 11.9%, 전남 10.9%로 집계됐다.
정 의원은 지역편중이 발생하는 근본 원인에 대해 국·공립어린이집 확충사업 예산 부담방식을 지적했다. 국·공립어린이집 확충사업에 지방비 50%를 대야 한다. 상대적으로 재정상태가 열악한 지방자치단체는 국·공립어린이집이 증가할수록 재정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. 심지어 신축지원은 지원 단가가 낮아 실질보조율이 16.8%에 불과했다.
보건복지부 관계자는 "올해 신축지원 단가를 기존 2억 1000만 원에서 3억 9200만 원으로 높여 자치단체 지방재정부담 완화를 추진하고 있다"고 설명했지만 신축에 드는 건축비용이 평균 12억 4800만 원인 점을 감안하면 실질보조율은 31.4%에 그친다.
정 의원은 "공공보육서비스에 지역 간 격차가 생겨서는 안 된다"며 "형평성 차원에서 지방정부 재정여건에 맞춰 신축지원단가를 인상하고 서울과 지방 분담비율을 차등 적용해 균형적으로 확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"고 지적했다.
-
- 박종완 기자
- pjw86@idomin.com
- 사회부기자 박종완입니다. 창원중부경찰서와 노동을 담당합니다. 노동 외 각종 민원이나 제보도 연락 기다립니다. 010-4918-7303
오늘의 idomin 주요기사
-
거제 한 펜션에서 20대 남성 3명 숨진 채 발견
이동열 기자
-
창원 팔용동 중고차 매매상 화재… 차량 10대 불타
이혜영 기자
-
평양을 누빌 마라토너 12명이 확정됐다.
박종완 기자
-
성동조선 매각 또 불발....3월 예비입찰부터 다시 진행
주찬우 기자
-
금강·영산강 3개 보 해체·2개 보 상시 개방
이혜영 기자
-
삼성중공업, LNG운반선 4척 수주
이동열 기자
-
민주당 4·3 보선 공모 '창원 성산' 권민호 단독 신청
민병욱 기자
-
전기면도기 훔친 60대 검거
류민기 기자
-
여성의 눈으로 포착한 새로운 가치
김민지 기자
-
[느낌여행](20)창녕군 남지읍 골목
이서후 기자